이전가격의 의미 글에 앞서 한번 씩 보시면 좋은 글일 듯 합니다. 본 글은 이전가격이 나오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생산공장과 본사, 판매지사는 다 다른 나라에 있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생산공장이 있는 나라는 보통 개발도상국으로 인건비와 기타 경비들이 저렴한 나라이고, 본사는 개발 및 경영의 중심이 되는 곳이 보통입니다. 판매지사는 보통 각 나라에 흩어져 생산공장으로 부터 물건을 들여와 판매지사에 넘겨 판매지사는 최종 고객한테 물건을 파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위 구조로 보면 본사는 물건을 팔기보단 개발과 경영을 직접 관장하다 보니 지속 적자나는 구조이고, 생산공장과 판매지사만 돈을 열심히 버는 케이스가 나오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본사를 가진 국가에서는 맨날 기업의 세수입이 없으니 unhappy 하고 본사는 본사대로 수입이 없어서 현금이 없으니 개발도 운영도 문제가 되는 상황이 나옵니다. 

 

 다른 나라의 생산공장이나 판매지사도 같은 회사이니 현금을 얼마든지 들고 올 수도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판매지사를 가지고 있는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내 나라에서 영업에서 번 돈은 내 나라에서 세금을 걷어가는게 정상적입니다. 근데 다른나라에 있는 본사가 자기가 본사라고 국내의 돈을 막 가져간다고 생각하면 외화 유출이 되기 때문에 엄격히 법으로 금지하고 모니터링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본사의 입장에서도 갖은 명목으로 현금을 받아가는게 일반적입니다. 개발은 우리가 했으니 생산공장에는 기술로열티를 받아가고, 판매지사는 우리 브랜드를 사용했으니 브랜드 로열티를 가져가기도 합니다. 경영에 전반적인건 우리가 관리하니 기업경영의 본사비 명목으로 받아가기도 합니다. 또 생산공장과 판매지사의 중간에서 중계무역을 통해 수수료를 가져가기도 합니다. 

 

 수수료도 수수료이지만, 판매가를 조정하여 기업의 현금이 이나라 저나라 뺏어가는 형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전가격과세란 것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이 배경이 되어 이전가격이란 것이 형성되었고 자세한 글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실무에서 사용하는 이전가격(Transfer Price) 의미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